반응형
사회복지사 2급 학점은행제 진행 과정 중 노인복지론의 3주 2차시에는 노년기의 경제생활을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였습니다. 오늘의 미션과 학습평가를 진행하고,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마무리 학습정리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의 미션
Q. 노년기 소득원의 유형을 알아보자.
전문가 의견
노년기 소득원의 유형에는 근로사업소득, 자산소득, 사적 이전소득, 공적 이전소득 등이 있습니다.
학습평가
01. 노년기에는 경제적 의존가능성이 높아진다. (O/X 퀴즈)
- 정답 : O
- 해설 : 노년기에는 소득이 격감하나 기본생계비 지출유지 및 의료비 증가로 인해 적자 가계로 경제적 의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02. 노인의 소득 및 소비생활 만족도는 전체 인구의 15% 미만이다. (O/X 퀴즈)
- 정답 : O
- 해설 : 소득 및 소비생활에 만족하는 노인은 12% 수준으로 15% 미만입니다.
03. 노후 준비 부족의 원인이 아닌 것은? (객관식 퀴즈)
① 사교육비 및 세금 증가
② 결혼과 주택마련 연령의 상승
③ 청년기의 사회진출 시기 지연
④ 노후준비 인식 증가
- 정답 : ④ 노후준비 인식 증가
- 해설 : 노후준비 인식이 증가하나 실제로 준비를 못하는 경우가 24%, 은퇴자의 60%가 노후준비부족으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노인복지론 3주 2차 학습정리
- 노년기 소득보장제도의 미성숙으로 경제적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소득원의 유형분류로는 근로사업소득, 자산소득, 사적이전소득, 공적이전소득이 있습니다.
- 노년기 경제생활 유형으로는 자립형, 가족의존형, 사회의존형이 있습니다.
- 고용노동부와 보건복지부에 소속된 기관들 간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중복 수행하고 있는 기능들을 조정하고 통합하는 일관성 있는 고령자 고용정책이 수립
- 법 제도 개선과 예산의 소요를 건의하고 취업알선센터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합 운영하여 일관성 있는 관리
- 노인일자리 정책 거버넌스, 지원체계 구축, 지역사회 노인고용플랫폼 구축을 통해 노인의 일자리를 연계·융합이 동반되어야 합니다.
위 내용은 한국HRD원격평생교육원(https://www.koreahrd.org/Home/Index) 강의 수강 및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