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 2급 학점은행제 진행 과정 중 사회복지학개론의 2주 1차시에는 사회복지의 가치와 이념을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였습니다. 오늘의 미션과 학습평가를 진행하고,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 마무리 학습정리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의 미션
Q. 가출청소년쉼터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로서 청소년에 대한 개입 계획을 세우고자 한다. 클라이언트가 원가정과 학교로 복귀하여 모범적인 청소년으로 성장하는 것이 유일한 목표일까?
전문가 의견
사회복지실천은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실천 활동입니다. 그런데 가치는 사람마다 다르고 시대와 사회에 따라서 변화합니다. 어떤 상황에서는 청소년이 학업이 아닌 직업적 활동을 해야 할 수도 있고, 어떤 상황에서는 학교에 가지 않을 학생의 권리가 존중되어야 할 경우도 있으며, 부모의 양육환경이 적합하지 않다면 가정이 아닌 다른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학습평가
01. 개인의 욕구, 노력, 능력, 기여에 따라 사회적 자원을 상이하게 배분하는 평등을 의미하는 개념은? (객관식 퀴즈)
① 기회의 평등
② 조건의 평등
③ 수량적 평등
④ 비례적 평등
- 정답 : ④ 비례적 평등
- 해설 : 개인의 욕구, 노력, 능력, 기여에 따라 사회적 자원을 상이하게 배분하는 것은 비례적 평등이다. 즉 사회적 약자에게 사회적 자원을 더 많이 배분해야 실질적인 평등이 실현된다고 할 수 있다.
02. 인간이 주어진 선택적 상황에서 자기 스스로 결정을 내리는 권리를 의미하는 것은? (객관식 퀴즈)
① 자기 결정권
② 인도주의
③ 개인주의
④ 기회의 균등
- 정답 : ① 자기 결정권
- 해설 : 자기 결정권은 인간이 선택적 상황에서 자기 스스로 결정을 내리는 권리를 의미한다. 사회복지실천에서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은 스스로 사회복지 서비스를 선택하거나 다양한 상황에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리가 있음을 의미한다.
03. 사회복지의 이념과 거리가 먼 것은? (객관식 퀴즈)
① 무한경쟁
② 인도주의
③ 개인주의
④ 경험주의
- 정답 : ① 무한경쟁
- 해설 : 사회복지의 이념은 인도주의, 민주주의, 개인주의, 경험주의 등이며 무한경쟁이 아니라 공동체적인 이념을 지향한다.
가족복지론 1주 1차 학습정리
1. 가치는 개인, 집단, 사회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신념 및 원칙입니다.
2. 사회복지사가 지향하는 가치는 실천과정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구체적 행동을 결정하는 기반이 됩니다.
3. 오늘날 사회복지의 전문적 실천은 인간의 존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차별과 불평등에 저항하고 보다 평등한 사회를 형성해 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4. 사회복지실천에서 클라이언트의 자기 결정권은 스스로 서비스를 선택하거나 다양한 상황에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리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5. 평등에는 기회의 평등과 조건의 평등, 수량적 평등과 비례적 평등이 있습니다.
6. 사회복지실천은 사람들의 안녕과 복지를 증진하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인도주의를 근본 이념으로 합니다.
7. 클라이언트는 시혜 차원으로 정부 또는 민간의 복지서비스를 제공받기보다는 시민의 기본적 인권으로서 복지서비스에 대한 권리를 가집니다.
8. 사회복지실천에서는 개인의 능력개발을 위한 활동을 중요하게 여기고 개인의 잠재력을 최대한 실현할 수 있도록 자원과 기회를 제공하는 활동을 강조합니다.
9. 사회복지사는 선의 또는 자신의 주관적인 선호에 의해 실천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원조자로서 과학적 또는 경험적으로 입증된 자료에 근거하여 실천합니다.
위 내용은 한국HRD원격평생교육원(https://www.koreahrd.org/Home/Index) 강의 수강 및 시청 후 작성하였습니다.